
🚫 군대 면제란?
군대 면제는 대한민국 남성이 병역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.
병역판정검사 결과에 따라 신체적·정신적 사유, 가족 사정, 해외 영주권 등 다양한 사유로 면제가 가능합니다.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, 병무청에서 최종적으로 면제 여부를 결정합니다.
🔎 군대 면제 및 제외 사유
1. 신체 및 건강상의 사유
- 질병 및 장애: 병역판정검사에서 5급(면제) 또는 6급(전시근로역) 판정을 받은 경우.
- 예: 중증 장애, 만성 질환, 정신 질환 등.
- BMI 초과 또는 미달: 체질량지수(BMI)가 현역 복무 기준에서 크게 벗어나는 경우.
- 수술 및 후유증: 큰 수술 후 회복이 불가능하거나 후유증이 심한 경우.
2. 가족 및 생계곤란 사유
- 가족 부양 의무자: 가족 중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경우, 병역 면제 또는 복무 연기 가능.
- 예: 부모가 모두 사망한 외아들, 가족이 모두 병중인 경우 등.
- 형제복무: 형제가 동시에 군복무 중일 때 일부 연기 가능.

3. 해외 영주권 및 이민
- 해외 영주권자: 외국 영주권을 취득한 경우, 병역 의무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.
- 단, 일정 기간 이상 국내 체류 시 병역 의무가 부활할 수 있음.
- 외국 국적 취득: 이중국적자의 경우 만 18세 이전에 국적 선택을 통해 병역 면제 가능.
4. 연예인 및 스포츠 선수 특례
- 올림픽 메달리스트: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 경우 병역 특례 대상.
-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: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획득 시 병역 특례 적용.
- 문화예술 특기자: 국제적 권위 있는 대회에서 입상한 예술인은 대체 복무 가능.
5. 양심적 병역 거부
- 양심적 병역 거부: 종교적 신념 또는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자는 대체복무제도(교도소 등에서 36개월 복무)로 병역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.
- 최근 법적 인정이 확대되고 있으며, 법원의 심사를 거쳐 결정.

❓ 군대 면제 Q&A 50가지
1.Q: 군대 면제는 어떻게 결정되나요?
A: 병역판정검사 결과와 제출 서류를 바탕으로 병무청에서 결정합니다.
2. Q: BMI로도 군대 면제가 가능한가요?
A: 체질량지수가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미달할 경우 면제 또는 보충역 판정이 나올 수 있습니다.
3. Q: 정신과 진단으로 면제받을 수 있나요?
A: 정신 질환의 정도에 따라 가능하며, 관련 진단서와 치료 기록이 필요합니다.
4. Q: 부모님 모두 돌아가신 외아들도 면제되나요?
A: 가족 부양 의무가 있는 경우 면제 또는 복무 연기가 가능합니다.
5. Q: 올림픽 메달리스트는 무조건 면제인가요?
A: 네, 올림픽 메달 획득 시 병역 특례 대상입니다.
6. Q: 군대 면제를 받으려면 어떤 서류가 필요한가요?
A: 병역판정검사 결과 외에도 진단서, 가족관계증명서, 해외 영주권 증명서 등 사유에 따라 필요한 서류가 다릅니다.
7. Q: BMI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?
A: BMI 17 미만이거나 33 이상일 경우 보충역 또는 면제 판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.
8. Q: 정신과 약을 복용 중인데 면제 가능할까요?
A: 정신과 약 복용만으로는 면제가 어렵지만, 진단명과 증상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.
9. Q: 청각 또는 시각 장애가 있으면 면제되나요?
A: 장애 등급에 따라 면제 또는 보충역으로 분류됩니다.
10. Q: 해외 체류 중인데 병역 의무가 면제되나요?
A: 영주권자 또는 시민권자일 경우 면제될 수 있지만, 국내 체류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.
11. Q: 올림픽 메달이 아닌 은메달도 면제되나요?
A: 올림픽 메달은 금·은·동 관계없이 모두 특례 대상입니다.
12. Q: 병역판정검사에서 불합격하면 면제되나요?
A: 5급(면제) 또는 6급(전시근로역)을 받으면 면제됩니다.
13. Q: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신 경우 자동 면제인가요?
A: 외아들이며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경우 면제될 수 있습니다.
14. Q: 키와 체중만으로 면제받을 수 있나요?
A: BMI 기준을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 가능합니다.
15. Q: 정신과 입원 기록이 있으면 면제되나요?
A: 진단명, 치료 기간,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, 병무청의 판단을 받습니다.

16. Q: 해외 유학 중인데 면제되나요?
A: 면제는 아니며, 최대 만 28세까지 연기 가능합니다.
17. Q: 형제가 동시에 군 복무 중이면 면제되나요?
A: 면제는 아니지만 입영 연기가 가능합니다.
18. Q: 고도비만이면 무조건 면제인가요?
A: BMI 33 이상이면 면제 또는 보충역이 됩니다.
19. Q: 척추측만증이 있으면 면제될 수 있나요?
A: 각도와 통증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.
20. Q: 조현병 진단을 받으면 면제되나요?
A: 증상의 정도에 따라 면제 또는 보충역이 결정됩니다.
21. Q: 가족 중 유일한 생계 부양자인 경우 어떻게 되나요?
A: 생계 곤란 사유로 면제 또는 복무 연기가 가능합니다.
22. Q: 문화예술계 특기자는 어떻게 면제되나요?
A: 국제 대회 입상 시 대체 복무로 병역 특례가 적용됩니다.
23. Q: 한쪽 눈이 실명된 경우 면제되나요?
A: 시력 상태에 따라 면제될 수 있습니다.
24. Q: 발달장애가 있는 경우 병역 면제되나요?
A: 장애 등급에 따라 면제 또는 보충역으로 판정됩니다.
25. Q: 약물 알레르기가 있으면 면제되나요?
A: 면제 사유는 아니지만, 건강 상태에 따라 복무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.
26. Q: 탈모가 심하면 면제될 수 있나요?
A: 탈모는 면제 사유에 해당되지 않습니다.
27. Q: 교정기를 착용 중이면 면제될 수 있나요?
A: 교정기는 면제 사유가 아니지만, 수술 후 후유증이 있으면 다를 수 있습니다.
28. Q: 고소공포증이 있으면 면제되나요?
A: 단순 공포증은 면제 사유가 아닙니다.
29. Q: 허리디스크가 있으면 면제되나요?
A: 증상 정도와 수술 여부에 따라 면제 또는 보충역이 결정됩니다.
30. Q: 피부질환으로도 면제받을 수 있나요?
A: 심한 아토피나 건선 등 중증 피부질환일 경우 면제될 수 있습니다.

31. Q: 조울증 진단 시 면제 가능할까요?
A: 증상의 정도에 따라 면제 또는 보충역 판정이 나올 수 있습니다.
32. Q: 천식이 심하면 면제되나요?
A: 천식의 발작 빈도와 치료 정도에 따라 면제될 수 있습니다.
33. Q: 가족 중 군인이 순직한 경우 면제되나요?
A: 순직 군인의 유일한 아들일 경우 면제될 수 있습니다.
34. Q: 탈장 수술을 받은 경우 면제되나요?
A: 수술 후유증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.
35. Q: 공황장애가 있으면 면제될 수 있나요?
A: 공황장애의 정도에 따라 면제 또는 보충역으로 결정됩니다.
36. Q: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있으면 면제되나요?
A: 장애 등급과 증상에 따라 달라집니다.
37. Q: 유전병이 있으면 면제되나요?
A: 유전병의 종류와 증상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.
38. Q: 혈우병이 있으면 면제되나요?
A: 혈우병은 면제 사유에 해당됩니다.
39. Q: 발목 인대가 끊어진 경우 면제될 수 있나요?
A: 수술 후 후유증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.
40. Q: 만성 편두통이 있으면 면제되나요?
A: 만성화 정도와 치료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.
41. Q: 심장병이 있으면 면제되나요?
A: 심장 기능에 따른 판정이 나옵니다.
42. Q: 소화기 질환도 면제 사유인가요?
A: 중증일 경우 면제될 수 있습니다.
43. Q: 고혈압이 심하면 면제되나요?
A: 고혈압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.
44. Q: 갑상선 기능 저하증도 면제 사유인가요?
A: 증상에 따라 면제 또는 보충역이 가능합니다.
45. Q: 고지혈증이 있어도 면제되나요?
A: 고지혈증은 면제 사유가 아닙니다.

46. Q: 이혼 후 자녀를 양육 중이면 면제될 수 있나요?
A: 이혼 후 자녀의 법적 양육권을 단독으로 가지고 있으며, 부양할 사람이 없는 경우 생계 곤란 사유로 면제 또는 복무 연기가 가능합니다.
47. Q: 우울증 진단을 받으면 면제될까요?
A: 우울증의 정도와 치료 기간에 따라 다릅니다. 경증일 경우 현역 판정이 나올 수 있으며, 중증일 경우 보충역 또는 면제가 가능합니다.
48. Q: 간질이 있으면 면제되나요?
A: 간질(뇌전증)의 발작 빈도와 정도에 따라 면제될 수 있습니다. 약물로도 발작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면제 판정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49. Q: 당뇨병이 심하면 면제되나요?
A: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(제1형 당뇨)이나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 면제될 수 있습니다. 제2형 당뇨는 합병증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.
50. Q: 병역 면제 후에도 예비군 훈련이 있나요?
A: 병역 면제를 받은 사람은 예비군 훈련 의무가 없습니다. 단, 전시근로역(6급) 판정자는 전시 동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⚠️ 군대 면제 주의해야 할 사항
- 허위 서류 제출 금지: 병역 면제를 위해 허위 진단서나 서류를 제출할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해외 영주권 및 이민 관련 주의: 국내 체류 기간에 따라 병역 의무가 부활할 수 있습니다.
- 특례 병역자의 의무: 예술·체육 병역 특례자는 복무 기간 동안 일정 활동을 이행해야 합니다.
- 양심적 병역 거부 심사: 법원의 심사를 거쳐 결정되며, 대체복무가 부과됩니다.

✅ 마무리 글
군대 면제는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당하게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.
하지만 병역 기피를 목적으로 불법적인 방법을 사용할 경우 엄중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본인의 상황에 맞는 합법적인 방법으로 병역 문제를 해결하고, 대한민국의 병역 의무 제도를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.
정확한 정보는 병무청 공식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세요.
지금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